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근로기준법에 대해서 잘 아시나요?


우리나라 근로기준법은 근로자의 권리를 잘 보장합니다.


현실에서는 다를지 모르더라도 법으로는 잘 되어있습니다.






그 중에서 오늘은 주휴수당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주휴수당은 사업자 뿐만 아니라 근로자들도 잘 모르는 개념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주휴수당 계산법 계산기 조건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주휴수당은 근로자의 당연한 권리이기 때문에 이글을 보시고 꼭 권리를 지키시길 바랍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계산기 조건


주휴수당이란 1주일 동안 일을 다 했다면 근로자에게 휴일을 주되 유급휴일을 주는 것입니다.


월화수목금 일을 했으니 토,일은 쉬는 것이라 생각하고 쉬니까 이 날에는 돈을 안받는 것처럼 생각하는데요.


근로기준법에는 반드시 유급휴일을 주도록 명시되어 있습니다.






만약 이를 어길시에는 사업주는 노동부의 진정 대상이 되며 벌금 또는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의 조건은 일주일에 15시간 이상을 근무하게 되시면 어느 근로자라도 주휴수당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럼 주휴수당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니 주휴수당 계산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주휴수당 계산법은 쉽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1일 근로시간 x 시급' 으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만약 본인이 하루에 6시간을 일하고 월요일에서 금요일까지 근로를 했다고 예를 들겠습니다.



시급은 1만원이면 주휴수당의 경우 6만원입니다.


한달로 생각한다면 유급휴일 4일을 기준으로 24만원이라는 큰 돈입니다.


이렇게 주휴수당이 높게 나오는데 주휴수당에 대해서 모르시고 그냥 넘어가시면 24만원을 날리는 것입니다.


주휴수당의 경우는 특히 아르바이트분들이 잘 알고 계시는 것이 좋습니다.


근로계약서를 쓸 경우 주휴수당에 대한 사항을 잘 보시고 본인의 월급과 근무시간을 잘 계산하시면 주휴수당을 주는지 안주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주휴수당 계산법 계산기 조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