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살다보면 각종 질병에 걸려서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건강보험이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되고 있는데요.


그런데 사람마다 건강보험료가 다르며 직장인과 지역가입자 역시 다릅니다.


소득수준에 따라서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기준이 애매합니다.


직장인의 경우 자동 가입이 되며 직장이 없을 경우 지역가입자에 속하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2017년 건강보험료 산정기준 지역가입자에 대해서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건강보험료 산정기준 지역가입자




1.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 산정방법입니다.


부과요소별 합산점수인 보험료부과점수에 점수당 금액을 곱하여 산정됩니다.


보험료 부과점수(부과요소별 합산점수)*179.6원(부과점수당 금액) 입니다.



2.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 부과입니다.


부과요소는 소득, 재산, 세대원의 성.연령입니다.


부과체계는 연소득 500만원 이하와 500만원 초과로 나누어집니다.



3. 세대당 보험료입니다.






등급을 클릭하시면 세부내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4. 점수표입니다.


1구간 ~ 7구간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구간별로 점수가 책정되어 있는데요.


가입자 성별, 연령별, 재산정도, 자동차 연간세액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이점수를 합산하여 계산하시면 됩니다.



5. 예시입니다.


직장을 퇴소하고 연소득 500만원 초과일 경우입니다.


각 항목의 점수를 합산하여 나온 총 건강보험료가 160,920원이며 장기용양보험료가 10540으로 총 납부금액은 171460원입니다.


표를 참고해주세요~






이상으로 건강보험료 산정기준 지역가입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